1. 돈(Money)
돈의 사전적 정의는 사물의 가치를 나타내며, 상품의 교환을 매개하고, 재산 축적의 대상으로도 사용하는 물건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번 글에 서는 경제와 주식 관련된 이야기를 하면서 돈과 관련된 이해가 먼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2. 돈의 기능
1) 교환
돈은 재화나 서비스의 대가로 지불한다. 화폐라는 매개가 없다면 원하는 물건을 얻기 위해서는 물물교환을 해야만 한다. 예를 들자면 내가 가진 게 소와 같은 큰 동물인데, 작은 농기구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이 둘을 교환할 수는 없다. 소와 같은 생물이라면 판매를 위해서는 죽여야 하는데 이게 쉽지 않은 방법이다.
이러한 이유는 돈, 즉 화폐라고 하는 것이 물건들에게 객관적인 가치를 매기고 돈을 통해서 서로 주고 받기가 가능하단 점이다. 이렇게 본다면 물물교환을 하던 세상에서 돈의 발명을 통해서 시장의 거래가 활발해졌음을 이해할 수 있다.
2) 가치의 척도
모든 물건과 서비스를 화폐 단위로 표현이 가능하다. 즉 어느정도 가치를 가지는지 표현이 가능하단 것이다. 같은 땅콩이라도 우도땅콩과 외국에서 수입한 저렴한 땅콩의 차이를 가격을 통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3) 가치 저장의 수단
화폐가 발명되기 전의 세상에서는 잉여 농작물의 가치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까다로웠다. 그렇게 시대가 변화되면서 금과 은 같은 귀금속들이 돈의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귀금속들은 부유한 귀족들은 그래도 저장하기 좋은 수단이었다. 대신 이를 지키기 위한 성과 군대가 필요했다.
그 이후 금 보관증을 시작으로 지폐라는 것이 등장하게 된다. 이것은 대단한 발명이었다. 금 대신 종이 보관증을 가지고 있다면 필요한다면 언제든지 금으로 바꿀 수도 있고, 이동하거나 할 때 부피와 무게에 대한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전쟁이 일어나서 패한다 하더라도 금이라면 모두 두고 가야 했지만, 이제는 그러지 않아도 되니 말이다.
4) 지불의 수단
금융이 발달되면서 이제는 부채와 채권 같은 상품들이 생기게 되었다. 이렇게 금융거래를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3. 목표안정 물가제
인플레이션이 발생된다면 화폐의 가치는 그만큼 하락하게 된다. 그래서 가치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내가 가진 자산이 그 물가만큼 이자 및 여러수단으로 플러스가 되어야 한다. 그래야 구매력 기준으로 같은 가치가 되는 것이다.
추후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목표물가라는 것이 있다. 연준에서 연 2% 물가수준으로 인플레이션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이보다 한수 더 높여서 목표안정 물가제를 적용하고 있다. 연 2% 목표 물가라면, 올해 1% 수준의 물가만 상승했을때, 그다음 해는 3%를 목표 물가로 한다는 것이다.
4. 결론
이러한 이슈가 있기 때문에 돈을 투자나 사용하지 않고 저축만을 한다는 것은 말그래로 물가 상승에 그대로 노출된다는 말이다. 이를 보통 경제학적으로 인플레이션 텍스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저축만으로는 불가능하다. 그래서 돈을 사용하더라도 소비가 아닌 투자를 해야 하는 것이다. 부동산, 주식 같은 상품에 대해 투자가 필요하지만, 그만한 공부가 필요하다.
'투자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에 대한 이해 (0) | 2024.03.06 |
---|---|
변동성지수(VIX)의 이해 (0) | 2024.03.05 |
돈 승수효과 통화승수(M2/M1) (0) | 2024.03.03 |
유효수요의 이해 (0) | 2024.03.01 |
인플레이션 2가지 이유와 이해 (0) | 2024.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