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1. 연봉 9000 만원연봉 9000 만원은 이제 상위 12% 정도에 해당되는 구간이다. 포스코 같은 대기업이나 금융보험업, KBS 방송국의 평균연봉이 이 정도 받은 것으로 집계되었다고 한다. 아무래도 금융권은 고연봉으로 유명한 곳이나 포스코 같은 대기업에서나 받을 수 있는 금액이다. 상당히 고액이기에 이 정도 금액을 받기는 쉽지 않다. 이 정도 받는다면 어딜 가도 초고액은 아니지만 인정받을 수 있을 법한 금액이라 생각한다.2. 공제한국에서는 직장인의 월급여가 많아지면 다양한 공제되는 금액도 동시에 올라간다. 근로소득세, 지방세, 국민연금, 건보료,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등 공제항목이 존재한다. 이러한 세금 같은 성격의 공제항목들이 제외되고 나면 실수령액이 결정된다. 1) 근로소득세 - 근로소득에 부..
1. 기초노령연금기초노령연금은 기초연금법에 근거하여 저소득층 노인에게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만 65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적의 국내 거주자에게 지급되는 공적연금이다. 2014년 7월에 시행된 이 연금은 국민연금을 적용받지 못한 저소득층 노인들의 생활과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시행된 것이다. 국민연금과의 차이는 재원으로 기초노령연금은 국가와 지자체의 세금으로 운용된다. 역사를 보면 노무현 정부에서부터 시작이며, 현재 의 체제는 박근혜 정부에서 하위 70% 노인에게 국민연금과 연계한 매달 최대 20만 원까지 지급하는 것으로 시행하고 있다. 2. 소득인정액 산정방식 소득평가액소득인정액 산정방식은 아래와 같다.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1) + 재산의 소득환산액(2)(1) 소득평가액 = 0.7 x (근로소..
1. 연봉 7000 만원연봉 7000 만원은 이제 상위 15%에 해당되는 구간으로 대기업만 못하지만 메이저 공공기관의 평균연봉정도 된다. 이제는 대기업은 평균연봉이 1억이 넘어가는 곳도 생겼다. 2023년에는 제약 바이오에서도 평균연봉이 7000 만원을 찍을 만큼 민간업계의 급여 상승폭이 상당하다. 23년 매경에서는 미혼여성의 가장 원하는 남편상에 연봉 7000에 키가 180이었다. 참 2019~2020년도만 하더라도 7000이면 상위 10%에 해당되는 금액이었다. 확실히 예전보다는 위상이 많이 약해진 모습이다. 2. 공제우리나라에서는 일하는 노동자의 급여가 많아지면 기타 공제되는 금액도 동시에 올라간다. 근로소득세, 지방세, 국민연금, 건보료,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등 다양한 공제항목이 존재한다. ..
1. 노령연금노령연금은 일반적으로 검색해 보면 기초연금이라 표현되기도 한다. 따라서 기초연금법에 근거한 저소득층 노인이 가고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만 65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적의 국내 거주자에게 지금 되는 공적 연금이다. 이 법안은 2014년 7월에 시행되었는데 이전에는 기초노령연금, 경로연금, 노령수당 등으로 불렸다. 그런데 노령연금이라 검색해보면 국민연금의 급여 중에서 노령연금에 해당되는 항목이 있어 언듯 헷갈린다. 재원은 기초연금, 노령연금은 국가와 지자체의 세금이며, 국민원금은 이전에 급여공제되어 예산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하지만 이 둘은 모두 받을수 있지만 국민연금 수령액이 커지면, 기초연금이 적게 받도록 되어있다. 2. 대상자 기준(수령나이 및 자격조건)만 65세 이상,..
1. 당근마켓당근마켓은 월간 순수 사용자가 1800만 명 이상인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 생활 앱이다. 중고거래를 기반으로 상당한 성장을 구가했다. 특히 유재석이 놀면 뭐 하니라는 예능을 통해서 당근에 대해 전국적으로 알려지는 개기가 되었다. 당근은 지역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중고거래 이외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에는 당근페이를 추가하여 결제나 송금시스템을 발전시키기도 했다. 그간 중고거래는 사기가 많고 내 주변에도 많은 사람들이 사기를 당했다. 하지만 지역기반인 당근을 이용한다면 근처 사람들에게 대면거래가 가능하기에 상당히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현재는 동호회부터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2. 세금 논란그런데 당근의 중고거래를 수익이 났다고 보고 소득세를 내야 할까? 이는 어떻게 보면 참..
1. 스타벅스스타벅스하면 이제는 누구나 아는 프랜차이즈 커피숍이다. 미국에서 들어온 세계 최대 규모의 커피, 차 주스를 판매하는 곳이다. 이곳의 시작은 1971년 미국 시애틀에서 1971년 고급 커피 원두와 장비를 판매하는 소매점에서부터였다. 이들은 유럽식 커피 로스팅 기법을 미국에 전파하며, 작은 소매점에서부터 시작으로 당시에는 허름한 곳에서 선원들에게 커피를 파는 곳이었다. 그런데 1982년에 하워드 슐츠가 마케팅을 담당하면서 큰 변화가 시작되었다. 그는 1980년대에 미국에 고급 커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을 파악했다. 스타벅스 경영진들은 그가 요구하는 변화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못했고, 그는 1985년에 스타벅스를 떠나서 자신만의 샵을 차렸다. 그렇게 큰 성공을 이루고 다시 스타벅스를 인수하기..